본문 바로가기

지속가능경영

㈜한화는 지속적인 기업 경쟁력 강화와 경영 혁신을 통해 최고의 기술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가치를 확장해 나가며,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한화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합니다.

안전환경보건경영

글로벌부문

안전환경보건 경영방침

㈜한화 글로벌은 SHE 경영시스템의 구축, 이행 및 적극적인 개선 활동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
  1. 1. 안전, 보건, 환경 최우선 경영

    임직원, 협력업체, 고객, 지역사회 등 ​이해관계자의 안전, 보건, 환경을
    최우선으로 인식하고 모든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동참한다.

  2. 2. 법규 준수 기반 자기규율 문화 지향

    제조, 건설, 무역, 연구개발 등 모든 조직 활동과정에서 안전환경보건 관련
    법규 준수를 기반으로 자기규율 예방체계의 내면화를 지향한다.

  3. 3. 기후 위기 대응 및 지속 가능한 미래 기여

    탄소중립 실천, 자원순환, 생물다양성 보전, 오염물질 배출 개선 및 친환경 솔루션 제공 등을 통해
    기업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을 추구한다.

  4. 4. SHE 역량 확보 및 상생협력 강화

    모든 임직원 및 협력업체에게 SHE 경영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게 하고,
    이해관계자와 함께 상생협력을 적극 추진한다.

  5. 5. 사회적 책임 완수 및 투명성 보장

    이해관계자와의 동반 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SHE 경영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한다.

2024.01.23
㈜한화 글로벌부문
대표이사 양 기 원 양기원

건설부문

안전환경보건 경영방침

㈜한화 건설부문은 인간존중과 환경보호의 가치를 실현하고 안전, 보건, 환경을 최우선으로 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최선을 다한다.
  1. 1. 안전, 보건, 환경 최우선 경영

    경영진은 안전보건환경을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두고 솔선수범하여 모든 임직원 및
    협력업체, 근로자의 자발적 참여와 적극적 실천을 이끈다.

  2. 2. 안전, 보건, 환경 법규 준수

    모든 임직원은 관련된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하여 안전하고 깨끗한 작업 환경을 확보하고
    지역사회의 환경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최선을 다한다.

  3. 3. 근로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근로자가 안전보건환경에 대해 참여하고 협의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정직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이해관계자와 열린 의사소통을 한다.

  4. 4. 업무 프로세스 지속적 개선

    안전보건환경 업무 프로세스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운영한다.

  5. 5. 오염예방 및 환경보호

    친환경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하고,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한화 건설부문
대표이사 김 승 모 김승모

안전환경보건 비전 및 전략

MISSION

2022 GROUP SAFETY & ENVIRONMENT LEADING COMPANY
2026 GLOBAL SAFETY & ENVIRONMENT LEADING COMPANY

VISION

Safe and Healthy life to Everyone, Everywhere!
누구에게나, 어디에서나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Beneficial to our Environment and the Community!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과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이로움을!

전략방향

  • 안전 문화
    내재화
  • Management
    선진화
  • 보유 역량
    강화
  • ESG 경영
    강화

온실가스 관리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이행

㈜한화는 2012년 6월 탄소중립기본법 목표 관리 기업으로 선정된 이래로, 모든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배출을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1차 계획기간(2015-2017)부터 온산공장이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되어 배출권 거래제에참여하였으며, 3차 계획기간(2021-2025)부터는 ㈜한화의 전 사업장으로 할당대상업체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전담 조직을 통한 주기적인 배출권 시장 분석과 거래 가격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최적의 가격으로 배출권을 구입하였으며, 배출권거래소 장내 경쟁매매, 이월·차입·매수·매도 등의 방법을 통해 배출권 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CDM 사업 인증

㈜한화 글로벌부문 온산공장은 질산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인 N₂O를 제거하는 ‘N₂O 감축 사업’을 CDM (청정개발체제,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으로 인증 받아 2007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약 25만tCO2-eq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감축량에 상당하는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파리협정 이행에 따라 CDM사업을 SDM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중에 있습니다. ㈜한화 글로벌부문은 현재 건설 중인 신규 질산 공정(여수지역)에도 자발적으로 N2O 저감 설비를 설치하여 보다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실시해 나갈 예정입니다.


에너지 효율 개선 활동

㈜한화 글로벌부문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 사업부별 생산성 증대 활동인 OE (Operation Excellence)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OE 활동의 일환으로 에너지 효율화 및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아이템 등을 발굴하고, 이행 효과를 분석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보은사업장 및 온산공장 OE 활동을 통해 인버터 설치, 운영방식 변경 등을통 한 에너지 효율 향상 등 전력·연료 사용 저감 아이템 11건을 발굴하였습니다. 온산공장에서는 질산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 에너지를 스팀 에너지로 전환 후 이를 제조 공정에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였습니다. 폐열 에너지로 생산된 스팀 사용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0’으로 온산공장의 온실가스 순배출량 감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153 TJ의 잔여 스팀 에너지를 판매하여 경제적 수익을 창출하였습니다.
또한, 사업장 내 냉난방 시스템 가동 온도 제어, 스팀 낭비 요소 제거 등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예방하고, 전력 효율이 높은 LED 전등 교체 등의 활동을 통해 사업장 내 너에지 사용 효율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한화 건설부문은 가설전기를 사용하는 가설분전함 내 타이머를 부착하여 작업시간 이외의 전기가 사용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가설사무실 LED등 설치 및 단열성능 강화, 가설통로 센서등 및 LED등 설치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화는 2024년에도 에너지 효율 활동을 지속 추진하여 사업장 에너지 절감 활동을 발굴해 나갈 예정입니다.

산업안전보건관리

안전보건 커뮤니케이션

구성원 의견 청취 체계 강화

㈜한화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장의 노사 대표단으로 구성된 부문별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노사협의체 등 협력사 대표 및 실무자로 구성된 안전보건협의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협의회에서는 안전보건과 조성을 위해 이해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 제52조에 따라 근로자 작업 중지권을 제도화함으로써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즉시 작업 중단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 Bottom-up 방식의 안전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안전보건 커뮤니케이션 활동
프로그램 대상 주요 내용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및 노사협의체 각 사업장 노사대표 위원
  • 안전보건 관련 종사자가 함께 모여 안전보건 관련 이슈 청취 및 토론
  • 각 사업장별 안전보건 관련 정책 규제 적용 여부 및 이행사항 검토 등
CEO 안전보건 현장 경영 경영진 (대표이사 포함)
  • ㈜한화의 모든 생산 활동과 관련된 안전 보건 이슈 파악 및 대책 논의
  • 사업주 주도적 안전보건 사항 점검 및 개선사항 도출
  • 종사자간 안전보건 의사소통을 통한 건의사항 수렴 및 개선
CSO 주관 안전간담회 안전보건 담당 리더 및 임직원
  • 각 사업장별 안전환경부서 및 관리감독자와 함께 현장 점검 및 개선 사항 도출
  • 안전보건 리더십 함양 및 안전문화 선도를 위한 전문 특강 진행
  • 사업장 간 안전 리더십, 우수사례 공유 등 자유 간담회 실시
안전보건 협의회 협력사 (대표 및 실무진)
  • 주기적인 합동 안전점검 시행 및 대표이사 간담회 실시
  • 안전보건 정책 공유 및 건의사항 수렴
안전보건 정보 공유 임직원 및 협력사
  • 사업 부문별 주기적인 안전보건 대내외 동향, 사고사례 등 안전보건 관련 정보 공유

임직원 건강 증진 활동

㈜한화는 모든 임직원이 쾌적한 근무환경에서 건강한 회사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신체 및 마음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임직원 건강 관리 프로그램
  • 사업장별 건강관리실 운영 및 유소견자 사후관리 강화 (주치의 건강상담, 건강진단기관 연계 등)
  • 직무스트레스 요인 평가, 분석 및 조치 (심리상담실 등)
  • 뇌·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
  • 심폐소생술 조치자 양성 교육 실시
  • 전 임직원과 배우자 및 가족에게는 개인 요구사항을 반영한 종합 건강검진 지원
  • 전 사업장 휴게시설 설치를 의무화하여 근로자 건강권 보호 및 선제적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휴게시설 가이드라인 운영
2023년 건강검진 실시 현황 (단위:명)
임직원 배우자 및 가족 합계
3,565 1,468 5,033
임직원 건강 증진 프로그램
  •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유소견자, 비만정도 이상 임직원 대상 운동 프로그램 운영 및 포상 실시
  • 금연·비만클리닉, 절주 및 금주 프로그램: 성공자 대상 포상 실시
  • 임직원 대상 마음건강 증진 캠페인 실시:
    - 정신건강증진 체험 부스 운영, 감성안전 키우기를 위한 다육식물 제공
    - 설문조사를 통해 스트레스·우울·알코올 의존도 확인 후 위험군 대상 외부 전문 상담가와의 개별 상담 및 집단 심리교육 지원

작업환경 관리

㈜한화는 임직원의 작업환경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전 사업장의 모든 유해인자에 대해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확보하고 관련 정보를 구성원들에게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법적 기준보다 강화된 자체 기준을 설정해 유해인자 노출 정도를 측정·관리하고 있으며, 대한산업보건협회 등 외부기관을 통해 작업환경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권고 사항에 대해서는 개선 조치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특정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특수 건강검진을 실시하여 임직원의 건강 이상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모멘텀 부문은 5년간 ‘업무상 질병 발생률(OIFR) ZERO’를 달성하였습니다. ㈜한화는 안전한 건설 현장 조성을 위해 3D 스캐너를 탑재한 로봇개, 모바일 안전관리 시스템 HS2E (Hanwha Safety Eagle Eye) 등 다양한 스마트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건설 부문에서는 자체 시스템인 고위험 통합관제 시스템(H-HIMS)을 구축하여 사고발생을 예방하고 현장 안전수준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안전문화 진단 및 평가

㈜한화 글로벌과 모멘텀부문은 경영진을 포함한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안전의식 및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정기적인 전사 안전문화 진단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안전문화 수준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설문 문항을 안전 리더십, 안전 시스템, 교육 및 훈련, 현장 안전 실천, 협력업체 관리 등으로 구성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업장의 취약점을 발굴하고 조직에 최적화된 안전문화 개선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장 중심의 자발적인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와 임직원의 안전의식 제고를 통해 사업장 내 사고 및 재해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안전문화 진단 프로세스
  • Step 1
    진단계획
    수립

  • Step 2
    설문조사
    진행

  • Step 3
    설문결과 및
    원인 분석

  • Step 4
    개선방안
    도출

  • Step 5
    결과 보고
    및 공유

  • Step 6
    개선사항
    모니터링


'안전의 날' 시행

㈜한화 글로벌과 모멘텀부문은 매달 사업장별로 전 임직원이 참여하는 ‘안전의 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안전의 날’에는 안전 교육 훈련, 점검 및 현장 개선, 피드백 공유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임직원의 안전문화 인식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장의 개선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조직 내 안전문화 수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환경영향 최소화

통합환경관리제도

㈜한화 글로벌부문 온산공장은 통합환경관리 사업장 인허가 취득 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와 현장의 일치화, 배출 일지 등 지속적인 서류 점검, 자가측정 등 통합환경관리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자율적인 사업장 관리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그 결과, 2023년도 환경부 정기검사 수검결과 정량 평가 항목에서 모두 '우수'등급을 받아, 정기검사주기 3년을 인정받았습니다. 글로벌부문은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업장 자율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자 합니다.


대기오염물질 관리

㈜한화는 대기환경보전법 및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적법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발생을최소화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 농도를 법규 기준 대비 50% 이하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방지시설을 확충 및 개선하고 있으며, 주요 배출구에는 대기오염물질 실시간 측정 장비인 TMS (Tele-Monitoring System)를 설치하여 오염물질 배출 농도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산공장에서는 CDM사업(질산공정 N₂O 촉매 감축 프로젝트)과 연계하여 N₂O 감축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해 N₂O 농도 자동측정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함으로써 스마트 환경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건설부문은 자발적으로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하여 2019년 환경부, 2022년 서울특별시와 각각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적극적으로 대기질 개선 및 대기오염저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모든 현장의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관련 법규에 따른 억제조치 이행 및 노후 건설기계 사용 제한, 미세먼지 상세관리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시스템 설치 및 운영, 미세먼지 관련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공사시간 조정 등의 저감 조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2월부터 4월까지는 특별점검 시행 등 강화된 내부 관리 기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살수관리시스템 개발, 비산먼지 면포 활용 등 지속적인 시설물 개발 및 사례 발굴을 통해 국토부장관상 및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자원 관리

㈜한화 글로벌부문은 물환경보전법, 환경오염시설법에 따라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적법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TOC, BOD, SS 등 수질오염물질 배출 농도를 법규 기준 대비 50% 이하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폐수처리시설의 처리 효율을 엄격하게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부문 온산공장은 냉각탑 재이용수 수질관리 방식을 변경하여 블로우다운 수량을 감축했고, 이로 인해 용수사용량 절감 및 폐수발생량 감축 성과를 동시에 달성하였습니다. 건설부문은 시공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분야별 관리지침을 수립하여 폐수처리시설, 오수처리시설,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위한 저류형 관리시설과 장치형 관리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방류수 수질검사를 통해 오염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화는 부문별 수자원 관리 기술 고도화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용수 사용량과 폐수 발생량을 저감하기 위해 도전하겠습니다.


폐기물 관리 및 감축

㈜한화 글로벌부문은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배출 실명제 도입, 텀블러 사용 캠페인, 폐플라스틱 재활용 식물 나눔 행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임직원 모두가 책임감 있게 폐기물 배출과 분리수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반제품 포장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포장재를 회수 및 세척 후 재사용하여 사업장 외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감축에도 기여하였습니다. 건설부문은 국가 폐기물관리시스템인 올바로시스템과 연동한 폐기물관리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실시간 처리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이와 연계하여 건축현장을 대상으로 한 폐기물 목표관리제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폐기물 관리지표를 개발하여 초기부터 준공시까지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한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매월 달성여부를 확인하며 계획대비 부진시 부진사유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폐기물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토양자원 관리

㈜한화 글로벌부문은 토양환경보전법 및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토양오염물질 및 특정토양오염 관리대상시설을 적법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법적 기준을 준수하여 토양오염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생산 및 저장시설에서 토양오염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주기적 시설 점검과 유지보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설부문은 시공 과정 중 토양오염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토사 반출 전 토양오염성분검사를 실시하며, 토양오염 발견시 해당 법률에 의거 정밀조사를 통한 토양오염 복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소음·진동 관리

㈜한화 건설부문은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진동으로 인해 지역주민이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를 통한 소음측정시스템으로 실시간 소음을 측정관리하고 있으며, 사전진단 제도를 통해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의 피해도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유해화학물질 규제 대응

㈜한화 글로벌부문은 화학물질 사전검토 시스템을 구축하여 모든 화학물질을 구매하기 전에 법규 규제대상 여부를 검토하고, 최종 승인을 획득한 후에 구매하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전검토 시스템은 구매 시스템과 연동되어 있으며, 화학물질 구매요청 단계에서 화학물질 사전검토 번호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구매요청을 진행할 수 없도록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법규가 개정될 경우 자동으로 화학물질 사전검토 번호의 사용을 중지하여 환경안전보건에 관한 재검토를 받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최근 화학물질 사전검토 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하여 대내외 사례를 벤치마킹하며 지속적으로 당사 시스템의 기능과 효율성을 점검 및 보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연 2회 이상 화학물질등록평가법 대상 물질 취급 계획을 조사하고 모니터링하며 화학물질등록평가법 준수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31일 연간 100톤 이상 1,000톤 미만 제조 또는 수입하는 기존화학물질의 등록 유예기간이 도래함에 따라, 연간 화학물질 취급 현황을 지속적으로 검토하여 화학물질등록평가법 대상 물질을 추가 확인하였고, 현재 8개(2024년 2분기)의 기존화학물질을 등록 진행 중입니다.

안전환경보건 주요성과

기후변화 대응 Key Performance

  • 아이콘 이미지
    2024년 1월
    K-RE100 가입 완료
  • 아이콘 이미지
    기후 리스크 시나리오
    정량적 재무영향 분석 시행
  • 아이콘 이미지
    2023 CDP Climate Change
    A-등급

안전환경보건경영 Key Performance

  • 아이콘 이미지
    6년 연속
    업무상 질병 발생률(OIFR)
    ZERO 달성
  • 아이콘 이미지
    공정안전관리 등급
    전 사업장 S등급 이상
  • 아이콘 이미지
    온산공장 통합환경관리 사업장
    환경부 정기검사 ‘우수’
  • 아이콘 이미지
    제19회 건설환경관리
    우수사례 경진대회
    국토교통부 장관상 수상

ESH 및 기후변화 대응

환경
온실가스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온실가스 총 배출량
(Scope 1 + Scope 2)
tCO₂-eq 64,822 64,263 68,748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1) 24,553 20,368 21,389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2) 40,269 43,895 47,359
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 (별도 매출액1) 기준) tCO₂-eq/
억 원
1.24 1.06 0.98
Scope 3 온실가스 배출량2) tCO₂-eq 3,912,742 4,236,881 7,446,486
온실가스 감축 실적3) CDM
감축량
354,382 293,153 인증심사유예4)
외부사업
감축량
344,250 287,290

1) 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은 2022년도 사업 부문(글로벌·모멘텀·건설) 기준 별도 매출액으로 산정
2) Scope 3 배출량 데이터의 경우, 2019년은 미산정하였으며 2020년은 사업 개편 전 방산 부문의 배출량과 분리 불가능하여 해당없음으로 표기함
3) CDM 감축량과 외부사업감축량은 KOC (Korea Offset Credits) 인증연도를 기준으로 함
4) 2021년 파리기후협약 발효에 따라 CDM을 SDM으로 전환 완료 전까지 감축실적 인증유예(KOC 인증 실적 없음)

에너지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에너지 총 소비량1) TJ 800 912 1,020
비재생에너지 소비량 직접 에너지 소비량 201 212 199
간접 에너지 소비량 766 912 990
재생에너지 소비량2) 총 소비량 MWh 18.25 18.25 18.25
에너지 원단위 소비량 (별도 매출액 기준)3) TJ/
억 원
0.01536 0.01507 0.01461

1) 에너지 총 소비량 = 비재생 직접에너지 소비량 + 비재생 간접에너지 소비량 + 재생에너지 소비량 - 에너지 판매량
2) 태양광을 통한 자가발전량
3) 에너지 원단위 소비량은 2022년도 사업 부문(글로벌·모멘텀·건설) 기준 별도 매출액으로 산정

대기오염물질1)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NOx(질소산화물) 배출량 Ton 5.04 8.44 13.95
SOx(황산화물) 배출량 0.01 0.00 0.47
먼지 배출량 1.62 1.26 4.41

1) 글로벌부문만 해당

수질오염물질1)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TOC 배출량 Ton 0.46 0.10 0.13
BOD 배출량 0.44 0.50 0.04
SS 배출량 0.77 1.19 0.12

1) 글로벌부문만 해당

용수 및 폐수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용수 사용량1) 총 용수 사용량 Ton 756,399 1,053,328 905,885
지하수 193,664 210,609 208,572
제3자 수자원2) 562,735 842,719 697,313
폐수 방류량 50,270 50,447 74,746
폐수 위탁량 2,725 2,920 2,484

1) 담수 외 용수 사용량은 없음
2020년은 글로벌과 모멘텀 합산 값이며, 2021-2023년은 글로벌·건설·모멘텀 부문 합산값임
2) Third party water : 지방자치 수도 공급자와 폐수 처리 공장, 공공 또는 민간 공익 사업체 및 용수와 폐수의 제공, 운송, 처리 또는 사용과 관련된 기타 조직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예: 상수도)

유해화학물질1)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Ton 149,638 202,228 316,758

1) 글로벌부문만 해당

폐기물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폐기물 총 발생량 Ton 288,913.5 424,690.6 474,771.3
일반 폐기물 발생량 1,192.4 964.2 5,325.4
지정 폐기물 발생량 73.0 123.1 426.6
건설 폐기물 발생량 287,648.1 423,603.3 469,019.3
폐기물 재활용량 9,299.6 13,261.0 472,662.1
폐기물 원단위 발생량1) Ton/억 원 5.55 7.02 6.80

1) 폐기물 원단위 발생량은 현재 사업 부문(글로벌·건설·모멘텀) 기준 별도 매출액으로 산정

환경 교육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임직원 환경교육 시간 시간 1,450 4,810 8,047
임직원 환경교육 참여 인원 수 461 697 3,301
환경 투자 및 지출1)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환경 투자액 억 원 10 13 16
환경 관련 지출액 135 191 211

1) 2022년 환경 투자 및 지출액의 경우, 사업 개편으로 인해 방산부문 제외 및 건설부문을 포함한 데이터임

환경법규1)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환경 법규 위반 건수 0 1 1
벌금 총액 0 3,000,000 1,500,000

1) 2022년 환경 법규 위반 건수 및 벌금액은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하여 방산부문에 해당함

안전보건경영
산업재해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산업재해율1) 임직원 % 0 0.02 0.02
협력사 1.43 1.49 1.83
중대재해2) 발생 건수(사망 제외) 임직원 N/A 0 0
협력사 N/A 0 0
LTIR (근로손실재해율)3) 임직원 - 0 0.02 0.04
협력사 0.91 1.20 1.51
OIFR (업무상 질병 발생률)4) 임직원 - 0 0 0
협력사 0.22 0.08 0.11
TRIR (총기록재해율)5) 임직원 - 0 0.02 0.02
협력사 1.16 1.20 1.50

1) 산업재해율 = (재해자 수 / 근로자 수) * 100
2)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 중대재해 건
3) LTIR (근로손실재해율) = (근로손실발생건수 / 총 근로시간) * 200,000 시간
4) OIFR (업무상 질병 발생률) = (직업성질환 발생자 수 / 총 근로시간) * 200,000 시간
5) TRIR (총기록재해율) = (업무 관련 상해 건수 / 총 근로시간) * 200,000 시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