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환경보건 체계를 구축하고 우수한 품질을 위한 끊임없는 기술연구로
함께 성장하는 더 밝은 내일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주)한화/글로벌은 안전환경보건 경영시스템의 구축, 이행 및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한다.
(주)한화/글로벌
대표이사 양 기 원
2022.09.28
㈜한화/글로벌은 모든 임직원 및 협력업체 직원의 안전, 보건뿐만 아니라, 나아가 환경과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를
경영의 주요 고려사항으로 반영하여 국내/외 모든 사업장에서 운영 가능한 Global 안전환경보건 경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화/글로벌은 도전, 헌신, 정도의 그룹 핵심 가치를 기반으로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하여
안전환경보건 경영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구조화하여 운영합니다.
1. 리더십 및 책임
한화의 임직원 및 협력업체는 부여된 책임을 이해하고 이행하며, 효과적인 관리와 소통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리더십과 의지를 표명하도록 교육받는다.
2. 위험 인식 및 관리 안전, 보건, 환경 및 지역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요인을 인식하고 관련된 위험성을 평가하여 관리한다.
3. 환경
한화의 활동으로 인한 환경 영향을 인식/정량화/평가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 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한다.
4. 지역사회
지속 가능 경영을 보장하고, 지역 사회에 기여하기 위하여 이해관계자와 효과적,
개방적이며 투명한 소통과 협의가 유지된다.
5. 보건 한화의 임직원은 근무 기간 중 업무 활동과 관련된 부정적인 보건 영향으로부터 보호 받으며 주기적으로 건강 진단을 받는다.
6. 안전환경보건 목표 한화의 안전환경보건 목표는 사업 계획 수립의 일환으로서, 성과의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도록 설정된다.
7. 교육 훈련
직원, 협력업체 및 방문자는 해당 안전환경보건 요건, 위험 요인, 위험성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숙지하며,
부여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훈련을 받고, 역량을 갖추며,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
8. 공정 설계 무결성
한화는 모든 플랜트 및 설비의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및 운영에 있어 모든 위험 요인이 인식되어 제거되거나,
위험성의 결과가 합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감소되어야 함을 보장하도록 관리한다.
9. 변경 관리 계획되거나 계획되지 않은 모든 변경이 인식되고 관리된다.
10. 운영 관리 모든 플랜트 및 설비는 위험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절차를 이용하여 운전, 유지, 검사 및 시험한다.
11. 협력업체 관리 서비스, 구매, 설비의 임대 및 자재에 대한 계약은 모든 잠재적인 위험의 도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진행된다.
12. 사고 관리
아차 사고를 포함한 모든 안전환경보건 사고는 보고 및 조사하며, 원인을 인식하고 시정 조치를 실시한다.
발굴된 교훈은 재발 방지를 위해 공유된다.
13. 비상 대응 계획
인원, 환경 및 지역 사회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 대응 계획을 수립하며, 비상 시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교육 훈련 및 자원을 제공한다.
14. 성과 측정 및 모니터링
안전환경보건 성과 보증은 통제된 문서화, 모니터링, 성과 검토 및 성과 경향을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 진도 측정,
준수 평가 및 지속적인 개선 추진으로 이루어진 구조적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1. 안전 경영 요소별 실행계획 지속 보완 및 추진 안전 성과 달성을 위한 기본 요소의 정의 및 요소별
실행계획을 수립, 이행, 지속 보완함으로써 효과적인 안전 경영 활동 실시
2. 행동중심의 안전관리 상해사고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불안전 행동을 관찰하여 제거하고,
상호간 안전대화를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
3. 위험인식능력 제고 위험 인식/제거 프로그램 (Hazard Identification & Removal Program) 등을
통한 현장 잠재 위험요소 인식 역량 강화
4. 안전 경영 역량 강화 전 임직원의 안전 지식, 기능, 태도 유지를 통해 지속적 무사고 달성 기반 확보
1. 쾌적한 작업환경 유지 지속적 작업환경 개선 및 체계적 보건관리 실행
2. 직업병 발생 예방 직업병 예방 관리체계 구축, 발생 예상시 담당업무 조정을 통한 사전조치 실시
3.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근로자 건강증진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 운영
1. 환경경영체제 구축 기업활동 전반에 걸친 친환경성 고려 및 체계적 감사절차 운영
2. 지구환경 보전 및 오염 방지 생산 등 경영전반의 오염물질 저감 및 효과적인 처리
3. 자원 및 에너지 원천 관리 사용 물질에 대한 적정성 평가 및 회수, 재사용, 재자원화 실천
1. 지역사회와의 공동 이익 창출 지속적인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 사업기회 제공, 투자, 현지 구매
2. 지역사회와의 우호적인 상호관계 구축 지역사회의 문화, 가치, 전통, 신념 및 권리 존중
매월 '환경안전의 날' 운영
매월 하루 생산활동을 중단하고 작업장 안전점검, 설비정비, 교육 및 개선활동을 실시하는 사전 예방 환경안전활동입니다.
이는 현장밀착 경영을 강화하고, 년간 수백억 원의 생산차질을 감수하더라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자 하는
최고 경영자 및 한화의 강한 의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환경안전위원회
연간 2회씩 환경안전보건에 대한 정책적 토론을 거쳐 전사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회의 안건은 최고경영자에게 보고되어 경영전략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환경안전보건 교육
매일 아침 작업시작 5분전에 환경안전교육을 실시하여 작업내용과 위험요인을 숙지하고,
환경안전 경영을 생활화하고 있습니다.
환경안전보건 실적관리
반기 단위로 환경비용, 환경오염물질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등 환경안전 관리실적과 분석결과를 도출하고
그 결과를 경영계획 수립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사전 환경안전 검토 제도
공사투자와 설비구매 승인단계에서는 사전환경안전검토서, 굴착, 용접, 고소, 화기 등등
위험작업이 포함된 공사나 유지보수 작업단계에서는 환경안전 작업허가서, 변경요소가 발생되었을 때는 위험성평가,
설비가 변경된 후에는 가동 전 환경안전점검서의 작성과 승인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자율환경관리 협약 체결
환경오염물질 배출량 절감을 위하여 사업장 스스로 환경개선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계획 수립 및 이행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여 환경개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제도
생산, 활동, 서비스 등의 모든 경영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나 범위를 사전에 예측·평가하고
그 대처 방안을 마련하여 환경오염을 사전에 예방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e책임제도
모든 사항에 대해 원인을 제공한 부서에게 책임 있는 조치와 사후 관리에 대한 책임의식을 부여하여
자율적이고 지속적인 현장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ESH감사 / Patrol제도 수시 및 정기, 내부 및 외부로 다양하게 구성하여 ECO-YHES 운영실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주치의 제도 정기건강검진 / 작업환경측정 / 체력측정 프로그램/ 사업장 주치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상대응 훈련 및 체계
한화는 종합적인 환경·안전·보안 사고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고, 비상대응 훈련과 교육을 통해
신속·안전하고 체계적인 대응 능력을 배양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절감 및 기후 변화 협약 대응
에너지 합리화 Master Plan을 수립하고, 작업공정 및 실정에 따라 공정개선, 에너지원 교체, 폐열 회수,
관리효율화 등 세무적인 에너지절감 ITEM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온산공장에 N2O 감축시설 설치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하였고, 여기서 획득된 배출권으로,
CDM사업과 배출권 거래제에 참여하는 등 기후변화협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의 2/3가 녹지로 구성되어 있고,
토제와 차폐수림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자연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140여만 그루의 나무를 비롯하여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식목행사, 지속적인 환경동선
투자 등 종업원들의 노력으로 이뤄낸
친환경적 한화의 모습입니다.
생태조사를 실시하여 동식물의 서식장소를
확인하고 겨울철에는 야생동물과 겨울철새의
서식장소에 먹이를 제공하며 수목의 생장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에는 고라니, 노루, 다람쥐, 꿩, 청설모,
두더지, 뱀, 유혈목이, 멧비둘기, 박새, 지네, 버들치를
비롯한 수많은 종류의 동물들과 야생초들이
함께 숨쉬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보은사업장에서는 아름드리 지정한
노거수가 집중 서식하고 있으며 곳곳의 산책로가
종업원들의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환경의 날이 있는 6월을 '환경의 달'로 지정하여 환경보전 활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래의 환경 파수꾼인 어린이들에게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인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환경보전그림 공모전,UNEP 어린이 환경그림 전시회, 어린이 환경캠프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업장마다 인근 지역에 있는 산과 하천을 하나씩 선정하여 쓰레기 줍기,
식목행사, 제초작업 및 하수구 정비 등의환경보전 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한 사업장들이 녹색기업 회원사로서 적극적인 활동과 녹색기업 정책실행에 참여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 주관하는 환경경영 시범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단위 | 2019 | 2020 | 2021 | |
---|---|---|---|---|
온실가스 총 배출량 (Scope 1 + Scope 2) |
tCO₂-eq | 180,086 | 95,602 | 99,788 |
Scope 1 | 127,765 | 39,079 | 43,345 | |
Scope 2 | 52,333 | 56,534 | 56,443 | |
Scope 3 | - | 984,497 | 1,634,667 | |
온실가스 감축 실적 | 344,250 | 288,038 | 240,906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에너지 총 소비량 | TJ | 1,773 | 1,781 | 1,721 |
직접 에너지 소비량 | 696 | 617 | 542 | |
간접 에너지 소비량 | 1,077 | 1,164 | 1,179 | |
에너지 총 소비비용 | 억 원 | 238 | 236 | 202 |
에너지 소비 감축량 | GJ | 3,110 | 3,014 | 3,158 |
사업장 내 재생에너지 사용량 | MWh | 324 | 314 | 329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NOx(질소산화물) 배출량 | 톤 | 32 | 41 | 37 |
SOx(황산화물) 배출량 | 1 | 1 | 4 | |
먼지 배출량 | 6 | 9 | 3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 톤 | 389,117 | 278,341 | 235,134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용수 사용량 | 톤 | 1,857,542 | 2,045,577 | 1,913,759 |
상수도 사용량 | 79,132 | 62,856 | 67,025 | |
지하수 사용량 | 366,160 | 595,126 | 506,110 | |
공업용수 | 1,412,250 | 1,387,595 | 1,340,624 | |
연간 폐수 발생량(국내) | 589,711 | 566,952 | 520,893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COD 배출량 | 톤 | 16 | 37 | 27 |
BOD 배출량 | 10 | 20 | 15 | |
SS 배출량 | 15 | 44 | 30 | |
TN 배출량 | 3 | 4 | 16 | |
N-H 배출량 | - | - | - | |
T-P 배출량 | - | - | 1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폐기물 총 발생량 | 톤 | 10,910 | 12,198 | 13,233 |
일반 폐기물 | 9,990 | 11,417 | 12,601 | |
지정 폐기물 | 920 | 781 | 632 | |
폐기물 재활용량(일반+지정) | 3,265 | 1,962 | 2,205 | |
폐기물 처리 비용 | 억 원 | 11 | 9 | 8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환경교육 시간 | 시간 | 9,272 | 20,722 | 6,982 |
환경교육 참여 임직원 수 | 명 | 3,461 | 3,561 | 2,503 |
단위 | 2020 | 2021 | |
---|---|---|---|
환경 투자액 | 백만 원 | 2,179 | 2,728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환경법규 위반 횟수 | 건 | 1 | 5 | 5 |
벌금 총액 | 원 | 480,000 | 4,200,000 | 4,760,000 |
단위 | 2019 | 2020 | 2021 | ||
---|---|---|---|---|---|
중대재해 발생 건수 | 임직원 | 건 | 1 | - | - |
협력사 | - | - | - | ||
산업재해율 (재해자 수 / 근로자수) * 100 |
임직원 | % | 0.04% | 0.10% | 0.11% |
협력사 | 0.15% | 0.55% | 0.25% | ||
LTIR (근로손실재해율) 근로손실발생건수 / 총 근로시간 * 1,000,000 |
임직원 | - | 0.74 | 0.46 | 0.52 |
협력사 | 1.78 | 2.61 | 1.18 | ||
OIFR (업무상 질병 발생률) 직업성질환 발생자 수 / 총 근로시간 * 1,000,000 |
임직원 | 0.00 | 0.00 | 0.00 | |
협력사 | 0.00 | 0.00 | 0.00 | ||
TRIR (총기록 재해율) 업무 관련 상해 건수 / 총 근로시간 * 1,000,000 |
임직원 | 0.74 | 0.46 | 0.52 | |
협력사 | 1.78 | 2.61 | 1.18 |